Page 245 - V3_Book_RP
P. 245

재원도  준비되지  않았고, 전문가도  없고, 임원도  어떤  공통점이  없고  하다 보니,

          초창기에 사업을 진행하기가 무척이나 어려웠고, 또 시기적으로는 IMF 사태가 가장

          깊어 가던 때여서 불신 풍조가 만연해 있었고, 한탕주의가 판을 칠 뿐만 아니라 소위

          벤처기업이나  다단계들이  판을  치는  가운데, 소위  ‘떴다방’들이  유행하다 보니
          사람들의  보는  시각이 ‘돈  모이면  뜨는  거  아냐?’ 뭐  이런  식의  생각들이었다.

          이런 것들도 어렵기는 했지만, 가장 어려웠던 것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공동체란  의식의  결여가  가장  힘들었다. 우리  함께  잘  살아보자는  것은  안중에도

          없고, 나 혼자만 잘 살면 된다는 식이었다. 그래서 그런지 화장지도 몰래 집어가고,
          비누도  집어가고, 무엇  하나  사무실에  놓아둘 수가  없었다. 이런  사람들에게

          주인의식을 가르치기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었고 평균 나이도 처음에는 60세가

          넘었다. 그러나  어차피  이  사업은 100년  앞을  내다보고  하는  사업이고, 다음
          후손들에게 물려줄 사업인데, 우리가 좀 고생하더라도 부동산도 구입하고, 연수원도

          구입해서 함께 사는 회사를 만들자고 제안했다. 그것은 우리가 떴다방도 아니고, 또

          하루  이틀만  하고  그만둘  사업도  아니며, 공동체  의식을  심어주기  위해서였다.
          그리고 서로 사랑하고자 하는 그것이 진정한 의미의 지오비 사업이라 말해주었다.






          26) 소액주주가 주인인 조합형 회사


          지오비  사업이란  소액주주들을  중심으로  그들이 100%를  출자한  자금에  의하여,

          운영되도록  되어있는  사업이다. 나는  전에  주식회사  서한항공이라는  회사를
          운영하면서, 자연스럽게 주식회사가 지닌 문제들을 찾아낸 적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주식회사법인은 51%의  지분을  가진  소수  대주주에게 49%의  지분을  가진  다수

          소액주주가  주식수의  많고  적음에  따                      라    의사결정을  하는데, 당연히 51%의
          대주주가  모든  것을  좌지우지하고  그  경영권을  가지도록  되어있다. 그  때문에

          49%의  지분만을  가진  소액주주들은  늘  뒷전에서  굿이나  보는  처지였고, 불만과

          의혹을 더욱 가질 수밖에 없는 것이 지금의 주식회사가 지닌 현실이다.













                                                                                                 245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