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27 - V3_Book_RP
P. 527
집행을 하는 방식으로 사용하게 하는 제 3의 경제를 말한다. 나는 단체장을 오랫동
안 해 온 경험을 통해, 이러한 조직을 이끌고, 각 정책들을 결정하는 것에 대해 다른
그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다. 그래서 여기서 나누는 이익은 단순한 자본주의와 공산
주의라고 하는 이념의 차이에서 오는 것이 아니다. 이것은 국가가 모든 재산을 관리
해서 개인에게 분배해 주는 것도 아니고, 개인이 하는 것도 아니고, 일종의 ‘협동
조합’과 같은 개념이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결론은 에누리 상품을 모아서, 그런
내용들을 중심으로 해서, 사업의 활성화를 위해서, 또 국가의 발전을 위해서, 쓰이게
하는 이러한 제도를 바로 공유 이익 제도라고 한다. 그리고 20년 전에 제가 이 공유
이익이라는 개념을 세상에 처음 밝혔을 때에는, 나는 사람들로부터 ‘이상한 사람’
취급을 받았다. 그러나 지금은 ‘공유 이익’, ‘공유 경제’, ‘협동 조합’, ‘공
동 투자’, ‘공동 수익’, ‘공동 창업’, ‘공동 구매’ 등 이러한 것들이 유행처
럼 번져진 상태라서, 이제 전 세계가 양극화로부터 벗어나서, globalization이라고
하는 세계화가 되는 과정에서 ‘포퓰리즘’이 등장하기 시작하고, 양극화가 아닌 서
로 함께, 공존/공생 하자는 뜻의 비즈니스가 현재 굉장히 활성화되고 있는 것이다.
그런 의미로, 공유 이익이라고 하는 걸, 자본주의가 고장 났을 때 가장 큰 원인은 바
로 자본주의는 곧 개인주의라고 할 수 있다. 개인주의가 고장 난 이유는 독점, 매점
매석(買占賣惜), 이런 것들로 인해 고장이 난 것이다. 이러한 것들의 반대는 ‘공유’
이다. 함께, 더불어 사는 사회, 이런 사회를 만드는 것이 공유인데, 그 공유가 바로
이 ‘공유 수익’을 의미한다. SBS가 ‘최후의 제국’이라는 다큐멘터리를 통해서,
300~400명의 사람들이 ‘아로파’라는 섬에 갔을 때, 그들이 다 죽고 극히 일부만
남아서 서로 죽이지 않도록 협약을 맺고, 서로 공동으로 노력해서 그것을 수익으로
만들어서, 골고루 나누면서 번창하여 잘 살고 있다는 내용을 방영한 적이 있었다. 마
찬 가 지 로 , 공유라고 하 는 것, 이제는 함 께 사 는 사 회 이다. 부 의 양극화가
심해져선 안 된다. 더불어 사는 사회, 그것이 중요하다. 그것이 공유 이익이다.
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