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97 - V3_Book_RP
P. 397

정의


          ‘안심 결제’, 또는 ‘위급 결제’ 이런 뜻으로 특허를 냈다. 우리가 살다 보면, 정
          말 어려움을 당할 때가 있다. 그럴 때 강도라 든지 이런 사람들이 우리 집에 와서, 또

          는 길에서, 노상에서, 그런 사람을 만났을 때, 그 사람의 목적은 돈을 달라는 것이다.

          그럴 때 목숨이 더 소중하니까, ‘돈 다 드리겠습니다.’, 돈 주고, 그리고 ‘나를 죽
          이지 않으면, 내 안에 있는 돈을 다 드리겠다.’그러면서 그것을 주는 과정에서 집에

          서든 어디서든 관계없이, ATM기를 통해서 하든, 인터넷으로 하든, 뭘 하든 관계없

          이, 그 사람이 돈을 찾을 때 계좌번호를 넣고 비밀번호 입력할 때, 두 개의 비밀번호
          사용한다. 하나는 내가 정상적으로 금융기관과 자금을 거래할 때 쓰는 계좌번호가

          있고, 또 하나의 번호는 ‘내가 지금 위급한 상황을 당하고 있습니다. 도와주십시오.’

          할 때 쓰는 비밀번호가 있는데, 그 번호는 비상상황에서만 쓰는 것이다. 그런데 어차

          피 비밀번호는 나밖에 모른다. 상대방도 모르고, 누구도 모른다. 그게 비밀번호이다.
          그래서 비상시에 비상용 비밀번호를 알려주면, 그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순간에 그

          돈은 정상적으로 ATM기를 통해서 인출이 되지만, 그 순간에 그 돈을 보내는 장소

          의 IP, 즉 서버, 또는 그 위치가 수사기관에 곧 바로 추적이 되어서 바로 ‘내가 위협

          을 당하고 있습니다.’하는 걸 자동 신고하게 되니까, 그 순간에 가장 가까운 경찰서
          로 통보가 되어 경찰들이 긴급출동, 포위를 해서, 그 돈을 뺏기기 전에 보호받을 수

          있는 이런 시스템이 ‘긴급 결제’, ‘안심 결제’, 위험에 대한 이러한 것들로 특

          허를 내 놓았다. 만약에 은행이 회원들에게 서비스를 하는데, 대리 결제 같은 서비스
          를 하고, 편리한 이런 기능을 제공해주고, 안심 결제처럼 위급한 상황에서 보호를 해

          주는 일을 하게 된다면, 은행은 은행 대로 고객유치에 얼마나 유리한 점이 많겠는가?

          이것이 바로 위험한 상황에서 빠져나가고, 안심하고 내가 결제를 할 수 있게 된다는
          특허를 낸 것이다.






















                                                                                                 397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